문제풀이 방향(중요도★★☆☆☆)
2. 주요 Key Word
- 교통량 조사의 정의
- 교통량 조사의 종류
- 교통량 조사의 종류별 주요 특징 비교
- 교통량 조사의 보완으로 코던라인과 스크린라인 비교
- 교통량 조사 계획 FLOW
- 교통량 조사가 도로 계획 및 설계에 활용성
- 교통량 조사의 보완 방안
개요
1. 교통량이란 한 조사지점을 일정한 시간(1 일, 주간 12시간, 1시간, 15분, 분) 내에 통과하는 차량의 수를 말한다.
2. 계획교통량 추정, 노선 위치, 출입시설의 위치와 규모결정, 도로 폭, 차로 수 결정, 포장구조 결정 등 도로설계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3. 교통량 조사의 종류는 기간에 따라 상시조사와 수시조사(정기간조사)로 구분된다
4. 조사지점 및 대상에 따라 단면교통량조사, 코든라인교통량조사, 스크린라인교통량조사, 특정지점교통량조사로 구분된다.
1. 조사구간 및 조사지점
(1) 조사구간의 설정
- 소구간 : 군도 이상 도로의 교차점과 교차점 사어를 기준으로 설정
- 대구간 : 고속국도 진 · 출입로와 일반국도 교차점 사이, 일반국도와 일반국도의 교차점 사이를 기준으로 설정
(2) 조사지점의 선정
- 교통 흐름에 방해되지 않고 조사원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장소
- 소구간 내에서 차량 순환이 발생하는 위치는 회피, 소구간 통과차량의 비중이 큰 지점
- 시행 중인 조사지점의 위치는 변경하지 않는 것을 원칙
- 국가교통조사 지점이 있는 경우 조사지점으로 선정
2. 조사항목
(1) 상시조사
- 도로의 한 조사지점에 대한 도로교통량을 년간 연속적으로 조사하는 것
- 방향별 · 시간대별 · 일별 교통량
(2) 수시조사
- 도로의 한 조사지점에 대한 교통량을 최소 일 이상 조사하는 것
- 방향별 · 시간대별 일교통
3. 조사시기
(1) 수시조사(휴가철, 명절, 연휴 등 제외)
- 일반국도 : 매년 3월부터 11 월사이의 평일(화,수,목)
- 고속국도/지방도 : 당해 연도 10월 셋째 주 목요일 (당일 오전 7시부터 익일 오전 7시까지 24시간 조사)
(2) 차종분류 조사의 시기
- 상시조사 장비를 이용하여 년간 연속적으로 실시
- 수시 차종분류 조사 09시~11시와 15시~18시
4. 조사방법
(1) 상시조사
- 고정식 장비, 방향별 · 시간대별 · 일별 교통량, 차종분류 조사
(2) 수시조사
- 인력식 : 조사원이 정해진 시간과 방향을 구분하여 관측
- 기계식 : 이동형 도로부착식 교통량 조사장비 사용
- 영상식 : 영상촬영, 보조전원장비 등 사용
5. 상시조사 장비 위치 선정
(1) 도로에 종단 · 횡단경사가 없는 곳
(2) 포장상태가 양호한 곳
(3) 확 · 포장계획이 없는 곳
(4) 전기 공급, 통신이 가능한 곳
(5) 전·후방에 진출입로 등과 같은 지정체 유발시설이 없는 곳
(6) 제어기 설치, 점검 공간 확보가 가능한 곳
6. 국가교통량조사
(1) 도로에 종단 · 횡단경사가 없는 곳
(2) 포장상태가 양호한 곳
(3) 확 · 포장계획이 없는 곳
(4) 전기 공급, 통신이 가능한 곳
(5) 전·후방에 진출입로 등과 같은 지정체 유발시설이 없는 곳
(6) 제어기 설치, 점검 공간 확보가 가능한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