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유형화가 필요한가?
2. 효율성: 유형화는 반복성을 갖게 합니다. 같은 유형의 문제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아이템을 준비하여 반영한다면 암기나 공부의 양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을 높인다.
h3: 기술사 문제의 유형
1. 공법 및 시설물
정의, 설계 형태, 적용 장소, 공법 비교표, 장단점, 관리방안
2. 제도
인간의 못할 얼마나 갑 무엇이 하였으며, 찾아 투명하되 꽃이 부패뿐이다.
정의, 도입배경, 단계별 추진계획, 주요 쟁점사항, 향후 개선방향(보완)
3. 설계기준
개념, 주요 변경사항, 도로설계에 미치는 영향, 영향을 주는 요소, 적용성, 보완점 및 개선방안
4. 기타
설계 FLOW, 기술자적 소고, 종류, 산정 방법
1. 공법 및 시설물
1) 공법 및 시설물에 대한 문제는 심플하게 정의와 사용되는 형태와 적용 장소 등에 대해서 기본적인 내용에 대한 작성이 필요하다. 다른 공법 및 시설물과의 주요 특징에 대해서 장단점 등을 비교표로 만들어 정리하여 작성하면 시각적으로 유리하다. 마무리로 공법 및 시설물에 관리와 개선사항에 대해서 기술자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작성한다면 좋은 답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 작성 예시
공법의 정의
공법의 설계 형태 및 적용 장소
공법 비교표, 장단점
공법의 관리방안
2. 제도
1) 현재 도로 사업 단계별 필요한 기존의 제도와 새롭게 도입되는 제도로 나뉘어 출제된다. 기본적으로 제도는 정의가 가장 중요하다. 정의에 대한 명확한 정리가 되지 않는다면 뒤에 나오는 내용은 산으로 갈 것이다. 또한 제도와 상반되거나 비슷한 제도와의 비교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BTO가 나온다면 BTL 또는 BTO-rs 등 최근 도입된 제도와의 비교를 한다면 답안의 질이 높아진다.
2) 작성 예시
제도의 정의
제도의 도입배경
제도의 단계별 추진계획
제도의 주요 쟁점사항
제도의 향후 개선방향
3. 설계기준
1) 최근 설계기준적인 문제가 빈번하게 출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터널방재기준, 도로설계기준, 사람중심형 도로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출제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변경된 사항에 대해서는 집중적으로 정리하여 준비해야 한다.
2) 작성 예시
설계기준의 개념
설계기준이 도로설계에 미치는 영향
설계기준에 영향을 주는 요소
기존 설계기준과의 차이점
설계기준의 적용성
설계기준의 보완점 및 개선방안